중국, 자국 항공사에 美 보잉 항공기 인수 중단 지시
- 토론토 포스트
- 4월 15일
- 1분 분량
미 첩보요원 3명 지명수배…미중 갈등 격화

중국 정부가 자국 항공사에 대해 미국 보잉(Boeing) 항공기의 인수를 중단하라는 명령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최근 미국이 중국 출신 첩보요원 3명을 기소하고 지명수배한 것에 대한 강력한 반발 조치로 해석된다.
중국 관영 매체에 따르면, 중국 민항당국은 주요 항공사들에 보잉 여객기 도입 절차를 전면 중단하라는 비공식 지침을 전달했다. 현재까지 보잉 측의 공식 입장은 나오지 않았지만, 이번 조치로 인해 양국 간 항공 산업 협력에 큰 파장이 예상된다.
앞서 미국 법무부는 중국 국적의 첩보요원 3명에 대해 기소 및 공개 수배 조치를 취했다. 이들은 미군과 관련된 민감한 기술 정보를 빼돌린 혐의를 받고 있으며, FBI는 이들의 소재를 파악 중이라고 밝혔다.
미국은 해당 인물들이 중국 국가안전부 소속으로 활동하며, 군사 및 항공 기술을 비롯한 전략적 정보를 빼낸 정황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는 바이든 행정부가 강조해 온 대중국 기술 유출 대응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항공기 거래를 넘어, 전략 기술과 안보를 둘러싼 외교 충돌로 이어질 전망이다. 보잉 항공기는 중국 내 상업 항공 시장에서 오랜 기간 점유율을 유지해왔으나, 최근 몇 년 사이 중국산 항공기(C919 등)로의 전환 움직임이 가속화되는 추세였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보잉 도입 중단은 단순한 경제적 조치가 아닌, 미국의 대중 압박에 대한 실질적 보복”이라며 “양국 간 신냉전 구도가 산업 전반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한편 이번 중국 정부의 지침이 공식 정책으로 이어질 경우, 보잉의 매출 타격은 물론 미국 내 항공산업계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동시에 중국은 이를 계기로 자국 항공기 제조사의 글로벌 진출을 본격화할 가능성도 있다.
미중 간 기술패권 경쟁이 민간 항공산업으로까지 확장되는 가운데, 국제 사회는 양국 간 충돌이 실제 교역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하고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