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캐나다, 미국 자동차 관세에 맞불… “USMCA 기준 미달 차량에 25% 보복관세 부과”

(사진 캡쳐 = 미국 캐나다 국기)
(사진 캡쳐 = 미국 캐나다 국기)

미국이 캐나다산 철강, 알루미늄, 차량에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한 데 대해, 캐나다 정부가 강력한 맞대응 조치에 나섰다. 마크 카니 총리는 3일 성명을 통해, 북미자유무역협정(USMCA)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미국산 차량에 대해 동일한 수준인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카니 총리는 이번 미국의 일방적 조치를 “근거 없는 보호무역주의”로 규정하며, “캐나다의 근로자와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이어 “캐나다는 멕시코 및 유럽과의 무역 동맹을 더욱 강화하고, 다자간 무역 질서 유지를 위해 국제사회와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56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수입 자동차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며, 보복 관세로 인해 발생하는 수익은 캐나다 내 피해 산업 및 근로자 지원에 사용될 예정이다.


특히 미국발 관세 전쟁의 여파는 곧바로 산업 현장에 드러났다.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인 스텔란티스(Stellantis)는 미국의 관세 조치로 인해 온타리오주 윈저 공장과 멕시코 톨루카 공장의 생산을 일시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해 윈저 지역에서만 4,500여 명의 근로자들이 직간접적 피해를 입게 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북미 자동차 공급망 전체에 타격을 줄 수 있다며, 소비자 가격 상승, 공급 지연, 고용 불안정 등의 부작용이 연쇄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이번 캐나다의 보복 관세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새로운 관세 정책에 대한 강경 대응의 신호탄으로 풀이된다. 특히 USMCA라는 다자간 협정을 기반으로 하는 북미 경제 공동체 내부에서 관세 전쟁이 벌어진 것은 매우 이례적인 상황이다.


캐나다 국내 정치권에서도 “더 이상의 양보는 없다”는 기류가 강하게 흐르고 있으며, 미국 역시 대선 정국 속에서 관세 강경책을 고수할 것으로 보여 양국 간 무역 갈등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Comments


Untitled-design-001 (1).jpg
Untitled-design-002.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