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트럼프 대통령, 중국산 제품에 최대 245% 관세 부과 강행

시진핑 정권은 무대응… 미·중 무역 갈등 재점화 조짐

(사진 캡쳐 = 왼쪽 트럼프 대통령, 오른쪽 시진핑 주석)
(사진 캡쳐 = 왼쪽 트럼프 대통령, 오른쪽 시진핑 주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최대 245%에 달하는 고율 관세 부과를 공식화하면서, 미·중 간 무역 갈등이 다시 고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미 백악관은 최근 발표한 성명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직후부터 추진해온 ‘아메리카 퍼스트 무역 정책’의 일환으로, 중국의 보복성 조치에 대응해 최대 245%의 고율 관세를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에는 125%의 상호보복 관세, 펜타닐 유입 차단을 위한 20% 관세, 무역법 301조에 따른 특정 품목에 대한 7.5~100% 관세 등이 포함됐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자국에 불리한 무역구조를 고의로 유지해왔으며, 이에 따른 무역적자가 미국 산업과 안보에 위협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백악관은 “75개국 이상이 새로운 무역협정을 위한 협상에 나섰지만, 중국만은 보복 조치로 맞서고 있다”며 고율 관세의 정당성을 강조했다.


반면, 시진핑 국가주석을 중심으로 한 중국 정부는 이번 조치에 대해 뚜렷한 대응 없이 조용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중국 외교부 및 상무부는 트럼프 행정부의 발표 이후 관련 입장을 내지 않고 있으며, 언론 통제 하에 내수 결집과 내부 단속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중국의 전략을 '장기전 대비 무대응 전략'으로 분석한다. 국제경제연구소(IIE)의 한 관계자는 “중국은 현재 부동산 침체와 청년 실업 등 내부 문제가 심각해 대외 갈등을 확대하기보다 국면 전환을 도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미국 내부에서는 고율 관세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생활용품, 전자제품 등 중국 수입에 의존하던 품목의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미국 소비자와 중소기업에 부담이 전가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경제전문매체 CNBC는 “고율 관세는 단기적으로는 정치적 효과를 거둘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소비자 물가 상승과 수입 대체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부과로 미·중 간의 무역 관계는 다시 격랑 속으로 접어들 가능성이 커졌다. 양국이 향후 어떤 형태로든 대화와 조율에 나설 수 있을지, 세계 경제의 향방을 가를 중요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Comments


Untitled-design-001 (1).jpg
Untitled-design-002.jpg
bottom of page